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셀트리온 헬스케어 주가 전망

by 뿡꺽뿡꺽 2021. 7. 12.
300x250

안녕하세요. 금일은 셀트리온 헬스케어 주가 전망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 관련주로 늘 화두가 되는 셀트리온은 요즘 백신과 더불어서 많은 분들이 관심있게 보는 종목중 하나인데요, 금일은 셀트리온의 계열사 중 하나 셀트리온헬스케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에 바이오주 하면 안트로젠 빼고는 관심이 없었던 저였는데, 요즘 셀트리온이 계속 언급되는데 알아보지 않을 수가 없죠.

 

해당 회사의 로고

회사 개요

셀트리온 헬스케어는 설립연도가 1999년으로 셀트리온 그룹의 큰 지분을 차지하는 회사입니다. 상장은 2017년 코스탁에 했구요, 셀트리온 그룹에 있는 회사들이 시가총액 규모가 워낙 크다 보니 헬스케어도 시총이 코스닥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작년에는 분식회계 논란으로 셀트리온과 셀트리온 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의 3사 합병에 대한 전면 합병을 발표하기도 하였습니다.

차트 분석

하루 차트

셀트리온 헬스케어 주가 시세는 현재 111,100원이며, 전일대비 약 0.98%정도 내려갔습니다. 4월 최고 136,300원까지 치솟아 높은 상승을 보여주다가 현재는 다소 내려가 12만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죠. 하지만 전문가들은 목표주가 15만원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큰 위기가 없다면 목표주가에 도달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일봉차트

일봉차트도 한 번 보시면 거래량도 꾸준하고, 이정도면 큰 급등락없이 안정적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6월 23일후 다소 떨어짐이 있었지만 그래도 전문가들 말처럼 반등할 요소가 더 많다는 것이 의견입니다.

기업분석 

기업분석

 

실적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출액은 2018년도에는 7,135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결코 적은 규모는 아닌데, 이후로도 매출성장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음을 보실 수 있어요. 2020년인 작년에는 1.6조원까지 올라간 상태로 올해 컨센서스를 보면, 드디어 1조원대를 탈출하여 2.1조원을 달성할것으로 시장에서는 보고 있는 거 같습니다.
​영업이익은 매출과는 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2016년에는 1,786억원을 달성하던 영업이익이 2018년에는 적자로 돌아섰다가, 이후 조금씩 회복하기 시작하여 작년에는 3.6천억원까지 복귀했습니다. 

셀트리온 헬스케어 주가 전망

시장 침투의 극대화

세계 시장의 효과적인 시장 확대를 위하여 직접 판매망을 구축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시장 침투를 하고있는데요, 계열사인 셀트리온과 공동개발자로서 셀트리온이 개발한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한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독점 판매권을 보유하고 있어 이 부분에서는 악재가 작용하지 않는 한 긍정적으로 작용할 거 같습니다. 또한,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경우에도 합성의약품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효능이 높으며 부작용이 낮아 일반적으로 합성 의약품보다 바이오의약품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만성질환, 중증질환, 주요 질병등을 치료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필수적인 치료제가 되고 있다는 것도 긍정적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렉키로나와 램시마SC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와의 연관성

미국의 바이든정부와 우리 정부가 밝힌 것처럼 완전 종식은 백신과 치료제로 한세트로 갈 것으로 보입니다. 게다가 델타변이까지 생기면서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는데요, 해서 당분간은 큰 악재는 없고 건강한 조정세로 느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또한, 유럽 5개국에 출시된 '램시마SC'의 본격적 처방확대가 2,4분기에 시작하고, 코로나 치료제 렉키로나의 글로벌 판매에 대한 기대감도 매우 높은 편입니다. 현재 렉키로나주와 코로나 진단키트 등의 호재 뉴스가 지속즉어로 나오고 있고 셀트리온의 1분기 매출도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내고 있기에 더욱더 기대가 큰 것 같습니다.

​셀트리온 헬스케어 배당금

돈을 정말 많이 버는 회사같은데 의외로 배당금이 없네요. 회사가 워낙 잘 크고 있으니(?) 내년에는 기대를 한 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 백신 상용화에 대한 기대

오늘은 셀트리온 헬스케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작년 코로나로 인해 대부분의 기업들이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이렇게 기회를 타산지석으로 삼는 바이오 및 제약회사주의 경우에는 오히려 선방하고 있는 기적같은 면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이 상용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델타변이 및 연일 확진자가 최고치로 달성하고 있는 요즘, 더욱더 백신 및 치료제의 역할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건강관리에 유념하시길 바라겠습니다.